솔리리스(Soliris)는 희귀 혈액 질환인 발작성 야간 혈색소뇨증(PNH)과 비정형 용혈성 요독 증후군(aHUS)의 치료를 위해 개발된 혁신적인 단일클론항체 치료제입니다. 이 약물은 보체 단백질 C5를 억제하여 적혈구 파괴와 혈전 형성을 막아, 환자의 생존율과 삶의 질을 크게 향상시킵니다. 최근에는 바이오시밀러 개발과 장기 안전성 임상 결과도 발표되며 치료 접근성이 확대되고 있습니다.
1. 개요
**솔리리스(에쿨리주맙)**은 우리 몸의 면역계 일부인 “보체 시스템”을 억제하는 단백질 약물입니다. 이 약은 PNH와 aHUS라는 희귀 혈액·신장병의 진행을 늦추거나 멈추는 데 효과가 있습니다.
출처: Clinical Trials Arena – Soliris mechanism & PNH trial data
URL: https://www.clinicaltrialsarena.com/projects/soliris-eculizumab-pnh-ahus/
2. PNH(발작성 야간 혈색소뇨증)에서의 효과
- PNH는 적혈구가 갑자기 깨져 소변이 어두워지는 병입니다.
- 임상시험(TRIUMPH, SHEPHERD)에서 솔리리스는 혈구 파괴를 크게 줄이고, 수혈 횟수를 크게 감소시켰습니다.
출처: EMA – Soliris PNH data
URL: https://www.ema.europa.eu/en/medicines/human/EPAR/soliris
3. aHUS(신장 관련 혈관막 손상)에서의 역할
- aHUS는 작은 혈관이 엉켜 신장 기능을 망가뜨리는 질환입니다.
- 솔리리스는 FDA와 EMA 승인을 받았으며, 소변 속 혈액 점차 줄고, 투석 또는 플라즈마 교환 치료가 크게 줄어드는 효과가 확인되었습니다.
출처: FDA Label – Soliris approval & usage
URL: https://www.accessdata.fda.gov/drugsatfda_docs/label/2011/125166s172lbl.pdf
4. 용법 및 투약 방법
- PNH: 매주 600mg 4회 → 한 달 후 900mg 1회 → 이후 2주마다 900mg
- aHUS: 매주 900mg 4회 → 한 달 후 1200mg 1회 → 이후 2주마다 1200mg
- **소아(5–10kg)**도 체중에 따라 투약 가능하게 맞춰집니다.
출처: EMA SmPC – Soliris dosing regimens
URL: https://www.ema.europa.eu/en/documents/product-information/soliris-epar-product-information_en.pdf
5. 작동 원리
- '보체 C5'라는 단백질 작동을 막아 세포 파괴 과정의 마지막 단계를 멈춥니다.
- 이로 인해 적혈구 손상이나 병적인 혈관막 손상이 줄어듭니다.
출처: Drugs.com – Soliris mechanism of action
URL: https://www.drugs.com/medical-answers/soliris-work-pnh-3568496/
6. 안전성과 부작용
- 가장 중요한 부작용은 수막염(뇌막 염증) 위험 증가이며, 투약 전 반드시 백신 접종이 필요합니다.
- 흔한 부작용으로는 두통, 감기 비슷한 증상, 발열 등이 보고되었습니다.
출처: Wikipedia – Eculizumab safety profile
URL: https://en.wikipedia.org/wiki/Eculizumab
7. 장기 사용 결과
- aHUS 환자 등록 연구에서 5년 뒤 사망률과 투석 의존률이 절반 이하로 줄어듭니다.
출처: aHUSNews – Soliris Long-term Safety
URL: https://ahusnews.com/news/soliris-treatment-is-safe-in-ahus-patients-registry-study-reports/
8. 새 치료제 및 대체 약물
- 다니스코판(Danicopan): 솔리리스와 병용해 추가 효과 기대 중
- 크로발리맙(Crovalimab): 주사 대신 4주에 1회만 맞는 새 항체 주사 (2024년 승인됨)
- 페그세타플로칸(Pegcetacoplan): 보체 C3를 억제하는 새로운 방식의 약물
출처: Wikipedia – Crovalimab, Pegcetacoplan URL: https://en.wikipedia.org/wiki/Crovalimab
URL: https://en.wikipedia.org/wiki/Pegcetacoplan
9. 가격·접근성·도전 과제
- 솔리리스는 단가가 매우 비싸기 때문에, 치료 비용과 보험 적용 여부가 큰 부담입니다.
- 투약 시 수막염 위험을 줄이기 위한 백신 접종과 면밀한 감시가 필요합니다.
- 새로운 치료제 승인과 바이오시밀러(복제약) 출시가 치료 접근성을 개선할 전망입니다.
출처: Wikipedia – Eculizumab pricing and biosimilars
URL: https://en.wikipedia.org/wiki/Eculizumab
10. 결론
솔리리스는 PNH와 aHUS의 근본적인 치료 효과를 입증한 최초의 보체 억제제로, 장기 안전성도 확보되었습니다. 하지만 비용과 감염 위험 관리가 필요하며, 새 약물과 대체 치료 방법의 등장이 환자들에게 희망을 주고 있습니다.
** 이 글은 의학 관련 정보를 담고 있으며, 일부 내용에 오류가 있을 수 있습니다.
** 정확한 진단과 치료를 위해서는 반드시 의사 또는 의료 전문가와 상담하시길 바랍니다.
** 독자 여러분께서 댓글을 통해 더 나은 정보를 제공해 주신다면, 이는 다른 이들에게 큰 도움과 위안이 될 수 있습니다.